본문 바로가기

초등늘봄학교 뜻과 혜택, 식사는??? 모르면 나만 손해

부끌마 2023. 1. 24.
반응형

늘봄학교?

초등학교 돌봄? 늘봄초등학교? 늘봄학교교사 등등 처음 듣는 말일 수 있는데요.

 

이는 교육부에서 교육과 돌봄에 대해서 국가적으로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서 시행하는 정책이라고 하는데요

 

늘봄학교의 정확한 뜻과 초등학교 돌봄, 늘봄 초등학교, 초등학교 돌봄 등등 여러 가지 파생된 의미의 말들과

 

혜택을 한 번 확인해보세요

 

 

 


 

 

 

 

 

2025년부터 전국에서 늘봄학교를 운영하다.


 

교육부에서는 2025년부터 전국적으로 늘봄학교를 운영하고자 하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일단 늘봄학교의 뜻부터 알고 가는 게 좋은데요.

 

 

 

 

 

 

 

 

 

 

 

늘봄학교란?

방과 후 프로그램을 좀 더 내실화시키고 돌봄의 질을 제고하여 교육적으로나 돌봄 서비스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책이라고 합니다.

 

현재 2023년에 시범운영으로 시작하여 2024년부터는 단계적으로 확산시키고

 

마지막으로 2025년에는 전국으로 확대시킨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1학년 집중 지원과 코딩까지??


이제 막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된 1학년 학생들을 자녀에 두고 계신 학부모님들에게는 좋은 소식입니다.

 

늘봄학교는 먼저 1학년 학생들에게 입학초기 에듀케어를 집중적으로 지원한다고 합니다.

 

입학직후인 3월 첫째 주 ~ 셋째 주까지

 

방과 후 에듀케어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합니다.

 

게다가 1학년 1학기에는 놀이, 체험 중심 및 맞춤형으로 방과 후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하니 좀 더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겠네요.

 

신입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방과 후에 돌봄 정보를 제공한다고 하니 관심 깊게 가져 봐야겠네요

 

 

 

 

 

 

 

 

 

또 한 AI나 코딩 교육도 배울 수 있다고 합니다.

 

흔히 요즘 말하는 미래형, 이에 대한 신수요로 방과 후의 프로그램을 좀 더 확대시키고자 합니다.

 

AI, SW 등 디지털 교육기회를 확대하고, 기업 대학 전문기관 등 민간참여를 통해 좀 더 활성화시키려고 합니다.

 

에듀테크까지 활용한 혁신적인 교수방법을 도입한다고 하죠.

 

이외에도 학생 개개인별 맞춤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문화 예술 체육활동을 좀 더 강화시키고

 

수준이나 소규모별 고품질 강좌를 개설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늘봄학교의 혜택은?

늘봄학교를 운영함으로써 양질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돌봄 유형을 다양하고 또 내실화를 다지겠다는 건데요.

 

아침 및 저녁시간 돌봄, 방학기간 내 돌봄, 거점형 돌봄다양한 방향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또 한 방과 후에는 연계적으로 틈새 돌봄 서비스와, 일시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돌봄 서비스보다 더 중요한 게 남아있습니다.

 

 

 

그건 바로 식사인데요.

 

돌봄 교실 운영시간을 20시까지 단계적으로 확대시키고 석식과 간식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고 하니 식사 걱정도 덜었네요

 

그 외에도

 

선생님의 업무를 덜어주기 위하여 교육청을 중싱으로 전담 운영체제를 구축한다고 합니다.

 

첫 번째, 방과 후 늘봄지원센터 구축

 

두 번째, 나이스 시스템 기반 단위학교 업무 지원

 

세 번째, 지자체 및 지역사회 협력 강화

 

학생뿐 아니라 선생님들에게도 노력하고자 하는 의지가 보입니다.

 

 

 


 

 

 

 

 

이처럼 2025년까지 시행하겠다는 늘봄학교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아직 2023년 시범운영이긴 하나 시행되기 시작한다면 누구보다 편해질 수 있는 부모님들,

 

요즘같이 맞벌이도 있어 자녀들 끼니 걱정도 수두룩 했던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결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이를 위해 모든 초등학생들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교육부에서 노력한다고 하니

 

자세한 내용은

 

교육부 누리집http://www.moe.go.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반응형

태그

댓글